작성자 | 성창민 |
일 시 | 2024. 10. 8 (화) 18:00 ~ 21:00 |
장 소 | 복지관 b128-1호 |
참가자 명단 | 임혜진, 이재영, 성창민, 장원준, 김명원 |
사 진 | ![]() |
rem과 %를 사용
반응형으로 웹을 구성할 때, 여러가지 단위가 있지만, rem을 주로 쓰고, %도 조금씩 사용한다고 합니다.
rem은 최상단 부모의 비율에 맞춰 반응이 이뤄지는 단위이고,
%는 바로 앞 부모의 비율에 맞춰 반응이 이뤄지는 단위라고 합니다.
그거 말고 하나 더 있는데, 그건 모든 부모의 비율 변화를 감지해서 자기한테 반영하는 것이라, 여기서는 쓰기 어려워서 rem과 %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style을 적용하는 3가지 방법
1. 처음에 하던대로 style=""을 태그 안에 직접 입력
2. html파일 상단에 스타일 태그를 함수처럼 만들어두기.
3. 저번에 한 대로 class=""를 태그 안에 적어두고, css파일에 스타일을 입력
그리고 이 순서대로 우선권을 갖는다고 합니다. 아마 뭐 하나의 태그에 스타일을 직접 입력했으면서도 css파일을 끌고와서 사용할 수도 있으니까, 그렇게 충돌 발생시 직접 입력한 것(가까운것)을 먼저 적용시켜주는 것 같아요.
style - display
display style에서 block, inline, inline-block, default, None에 대해서 알려주셨습니다.
일단 사진과 같이 동작한다는 것을 알아두면 될 것 같습니다.
git reset --hard HEAD
오늘은 간단하게 프론트의 몇가지 내용에 대해서 test로 배운것이라, git reset을 통해 뒤로 돌리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 한 내용들을 버리기? 위해
git reset --hard HEAD명령어를 사용하였습니다
저는 지금까지 git Desktop만 사용해서 아직 명령어가 조금 어색합니다. git 관련 용어들(staging checkout 등등)도 헷갈리고요. 그래서 이번에 Django를 돌아보는 겸 git도 돌아보기로 했습니다
https://inpa.tistory.com/entry/GIT-%E2%9A%A1%EF%B8%8F-%EA%B0%9C%EB%85%90-%EC%9B%90%EB%A6%AC-%EC%89%BD%EA%B2%8C%EC%9D%B4%ED%95%B4
이 블로그에서
Working dir. > Staging Area > Local Repo > RemoteRepo 순으로 버전 관리가 진행됨을 알았고
git add > git commit > git push 를 하면 추가.
git fetch는 원격레포에서 변경 사항을 가져오는 용도.
git pull은 git fetch와 동시에 git merge를 진행하는 것.
git clone은 처음에 원격 레포를 가져오는 것.
git checkout 은 브랜치나 커밋을 이동하는 명령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중간중간 새로 얻은것들, 다시 돌아봐야 할 것들을 모각코를 통해 기록하며 공부하니 남는것이 많아지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