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29 5

[알고리즘] DP 공부하기(1) - 접근

작성자이재영일 시2024. 10. 29 (화) 18:00 ~ 21:00장 소미래관 429호 자율주행스튜디오참가자 명단임혜진, 이재영, 성창민, 김명원, 장원준 사 진더보기목차DP란?DP의 특징DP 문제를 푸는 법이번 주차에 파이썬을 사용한 알고리즘을 공부해보려고 한다. 알고리즘 때 DP를 공부하는데 뭐가 뭔지 감은 잡히는데 실제 문제에 적용시키는 것에 어려움을 많이 느꼈다. 그래서 이번 주차부터 파이썬을 사용한 알고리즘을 시작해보려고 한다.1. DP란?DP(Dynamic Programming)은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큰 문제를 여러 개의 작은 문제로 나누고, 각 작은 문제의 해답을 저장하여 중복 계산을 피하는 알고리즘 기법이다. 주로 최적의 해를 찾는 문제에 사용되며, 부분 문제 최적화와 중복 ..

카테고리 없음 2024.10.29

[OpenCV] padding, stride

작성자김명원일 시2024. 10. 29 (화) 18:00 ~ 21:00장 소미래관 429호 자율주행스튜디오참가자 명단임혜진, 이재영, 성창민, 김명원, 장원준 사 진 padding은 CNN에서 필터가 가장자리 부분을 처리할 때 사용한다.CNN에서 padding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가장자리 부분의 데이터들은 연산횟수가 적어지는데 이에 따라 위치에 따라 중요도가 달라질 수 있다.이를 위해 padding을 추가하여 해결 할 수 있다. 1. zero padding입력 데이터의 가장자리에 0으로 채운 픽셀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CNN에서 컨볼루션 연산 후의 출력 크기를 원본과 같게 유지하거나 특정 크기를 얻기 위해 사용된다. 2. reflection paddingreflection padding은 입력 이미지의..

카테고리 없음 2024.10.29

[Computer Vision] Regularization

작성자장원준일 시2024. 10. 29 (화) 18:00 ~ 21:00장 소미래관 429호 자율주행스튜디오참가자 명단임혜진, 이재영, 성창민, 김명원, 장원준 사 진 Regularization (정규화) W(weight)가 너무 큰 값들을 가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W가 너무 큰 값을 가지게 되면 과하게 구불구불한 형태의 함수가 만들어지는데, Regularization은 이런 모델의 복잡도를 낮추기 위한 방법이다.Regularization은 단순하게 cost function을 작아지는 쪽으로 학습하면 특정 가중치 값들이 커지면서 결과를 나쁘게 만들기 때문에 cost function을 바꾼다. 여기서 weight가 너무 큰 값들을 가지지 않도록 하는 이유는 Overfitting 때문인데  Overfitti..

카테고리 없음 2024.10.29

[Django] 인프런 Django로 Pinterest 따라 만들기 (7)

작성자성창민일 시2024. 10. 29 (화) 18:00 ~ 21:00장 소미래관 자율주행스튜디오 429호참가자 명단임혜진, 이재영, 성창민, 장원준, 김명원 사 진 이전까진 느낀점도 많이 쓰고, 흐름에 대해 많이 기록했는데요. 그리고 존댓말로 했고요. 근데 학습한걸 심플하게 제 언어로 해석하고 기록해야 기억에 잘 남는 것 같고, 존댓말 쓰는게 너무 오래걸려서 앞으로는 간결하게 메모하듯이 기록할 것입니다.Get과 Post의 차이Get은 파라미터를 Url에 아래 사진과 같은 형식으로 넣어서 보냄.Post는 url에 넣는게 아니고 Body에 넣어서 보냄.  PostPost를 쓰려면 Html 안에 form을 만들어줘야 함.form = 서버한테 보내는 요청 명세서폼에서  action = api주소 / metho..

카테고리 없음 2024.10.29

[알고리즘] 정렬알고리즘 #1 삽입정렬 (insertion Sort)

작성자임혜진일 시2024. 10. 29 (화) 18:00 ~ 21:00장 소미래관 429호 자율주행스튜디오참가자 명단임혜진, 이재영, 성창민, 김명원, 장원준 사 진  📍 삽입 정렬 (Insertion Sort)삽입 정렬은 실제로 내가 카드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면 더 이해가 쉬운 것 같다. 정렬되지 않고 나열된 카드 중 두 번째 카드를 들어 손에 쥔다. 그러면 내가 두 번째 카드를 들고 있으므로 두 번째 칸이 빌 것이다. 바로 앞의 카드와 비교하여 내가 들고 있는 카드보다 크다면 앞 카드를 한 칸 뒤로 민다. 해당 카드 바로 뒤는 비어있다. 카드를 밀어서 빈 공간을 채워주면 된다. 이를 반복하다가 내가 들고 있는 카드보다 큰 카드가 나오면 지금 빈 공간에 내가 들고 있는 카드를 내려놓는다.우리가 실제..

카테고리 없음 2024.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