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31 5

[알고리즘] DP 공부하기(2) - (백준 1463, 1로 만들기, Python)

작성자이재영일 시2024. 10. 31 (목) 18:00 ~ 21:00장 소미래관 424호 자율주행스튜디오참가자 명단임혜진, 이재영, 성창민, 김명원, 장원준 사 진이번 모각코는 지난 시간에 공부했던 DP를 활용하여 관련 백준 문제를 풀어볼 것이다.1. 백준 1463 - 1로 만들기문제정수 X에 사용할 수 있는 연산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이다.X가 3으로 나누어 떨어지면, 3으로 나눈다.X가 2로 나누어 떨어지면, 2로 나눈다.1을 뺀다.정수 N이 주어졌을 때, 위와 같은 연산 세 개를 적절히 사용해서 1을 만들려고 한다. 연산을 사용하는 횟수의 최솟값을 출력하시오. 입력첫째 줄에 1보다 크거나 같고, 106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 N이 주어진다. 출력첫째 줄에 연산을 하는 횟수의 최솟값을 출력한다. 정..

카테고리 없음 2024.10.31

[OpenCV] Batch Normalization

작성자김명원일 시2024. 10. 31 (목) 18:00 ~ 21:00장 소미래관 자율주행스튜디오 429호참가자 명단임혜진, 이재영, 성창민, 장원준, 김명원 사 진 배치 정규화(Batch Normalization) : 입력 활성화를 채널 차원에서 정규화하여 출력이 평균이 0이고 분산이 1이 되도록 한다.이 파라미터들은 학습 과정에서 조정되며, 정규화된 출력의 스케일과 오프셋을 조절한다.네트워크의 학습을 안정화하고, 학습 속도를 향상시키며, 과적합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훈련 시, 채널별 평균과 분산이 계산된다.이 통계치를 바탕으로 입력 텐서가 정규화된다.정규화된 텐서에 채널별 스케일/쉬프트 연산이 적용된다.이동 평균에 기반하여 running 평균/분산이 계산된다.추론 시, running 통계치가 활..

카테고리 없음 2024.10.31

[Computer Vision] Linear model & Linear regression

작성자장원준일 시2024. 10. 31 (목) 18:00 ~ 21:00장 소미래관 자율주행스튜디오 429호참가자 명단임혜진, 이재영, 성창민, 장원준, 김명원 사 진1. Linear Model이란? Linear Model, 또는 선형 모델은 데이터의 특성과 결과값 사이의 관계를 직선 형태로 나타내려는 모델입니다. 선형 모델은 입력 변수와 출력 변수 사이의 관계가 일정한 비율로 변한다고 가정합니다. 이 가정 하에, 특정 입력값이 증가하거나 감소할 때 출력값도 일정한 비율로 변동하게 됩니다. 이 모델의 대표적인 형태는 1차 함수인 \( y = mx + c \)와 같은 수식으로 표현되며, 이 식에서:- \( y \): 예측하려는 값(종속 변수)- \( m \): 기울기(변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계수)- \(..

카테고리 없음 2024.10.31

[Django] 인프런 Django로 Pinterest 따라 만들기 (8)

작성자성창민일 시2024. 10. 31 (목) 18:00 ~ 21:00장 소미래관 자율주행스튜디오 429호참가자 명단임혜진, 이재영, 성창민, 장원준, 김명원 사 진 디버그모드강의에서 나온 설정방법이랑 좀 달라서 헤멨다.그래도 이렇게 설정을 어떻게 하고정지점? 을 설정해두고 벌레모양을 누르면 서버가 실행된다.정지점을 누른 곳이 post의 리턴이므로, debug를 작성하고 post를 해보면?정지점에서 코드가 멈추고 이 때의 상황을 디버그 창에서 볼 수 있다.이런 편리한 기능을 모르고 지금까지 코딩을 했다니. 지금이라도 알아서 다행이다.  복습지금까지 hello_world 만든 구조를 돌아보기  앞으로 할 것 - 아무나 요청을 보내지 못하도록 인증시스템 구축, Account app내 들어갈 기능 구현 CRU..

카테고리 없음 2024.10.31

[알고리즘] 정렬알고리즘 #2 선택정렬 (Selection Sort)

작성자임혜진일 시2024. 10. 31 (목) 18:00 ~ 21:00장 소미래관 429호 자율주행스튜디오참가자 명단임혜진, 이재영, 성창민, 김명원, 장원준 사 진📍 선택정렬 (Selection Sort)가장 작은 값을 찾아 선택한다. 정렬되지 않은 배열의 첫 번째 원소부터 현재 원소이고, 그 뒤의 모든 원소를 비교해가며 가장 작은 원소를 찾는다. 가장 작은 원소를 현재 원소와 교체한다. 그러면 점점 앞에서부터(가장 작은 수부터) 순서대로 정렬되어간다.우리가 실제로 실물 카드를 정렬한다고 했을 때, 선택정렬을 사용할 사람은 없을 것 같다. 가장 작은 수를 찾아서 앞에다가 놓아가며 정렬하는 원리이지만 가장 작은 수를 맨 첫 번째 원소와 교체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실물 카드를 가지고 있다면 교체가 아니라..

카테고리 없음 2024.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