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01 5

[OpenCV] 합성곱 신경망 CNN

작성자김명원일 시2024. 10. 01 (화) 18:00 ~ 21:00장 소복지관 b128-1호참가자 명단임혜진, 이재영, 성창민, 김명원, 장원준 사 진 합성곱 신경망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 합성곱 신경망을 사용하는 분야들 1. 객체 감지(Object Detection): 자율주행 차량은 도로 위의 자동차, 보행자, 표지판, 신호등 등 다양한 객체를 인식하고 구분해야 합니다. CNN은 이미지나 비디오 프레임에서 이러한 객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각 객체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2. 차선 인식(Lane Detection): 도로에서 차선을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차량이 도로를 유지하도록 돕습니다. CNN은 카메라로 촬영한 도로 이미지를 분석..

카테고리 없음 2024.10.01

[알고리즘] Merge sort & Quick sort

작성자장원준일 시2024. 10. 01 (화) 18:00 ~ 21:00장 소복지관 b128-1호참가자 명단임혜진, 이재영, 성창민, 김명원, 장원준 사 진    오늘은 알고리즘 강의 시간에 배우는 merge sort 와 Quick sort 에 대해서 공부를 했다.  먼저 Merge sort  Merge Sort는 분할 정복(Divide and Conquer) 알고리즘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리스트를 더 작은 부분으로 분할한 후, 각 부분을 정렬하고, 마지막에 다시 합병하여 최종 정렬된 리스트를 얻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Merge Sort의 시간 복잡도는 항상 O(nlog⁡n)O(n \log n)O(nlogn)입니다. Merge Sort의 단계분할 (Divide): 리스트를 두 개의 하위 리스트로 나눕니..

카테고리 없음 2024.10.01

[Django] 인프런 Django로 Pinterest 따라 만들기 (5)

작성자성창민일 시2024. 10. 1 (화) 18:00 ~ 21:00장 소복지관 b128-1호참가자 명단임혜진, 이재영, 성창민, 김명원, 장원준 사 진 이전 시간에 css를 저장할 static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강의를 듣던 중 메모할 것이 생겼습니다.os.path.join(경로, 경로)이것도 그냥 아무 생각 없이 썼었는데, 영상에서 설명을 해주셨습니다os 라이브러리에서 경로 관련해서 제공하는 것이고, 뒤에 나오는 두 경로를 합쳐주는 것입니다.보통 Django의 settings.py 에서 많이 썼는데요.BASE_DIR을 미리 정해두고 (BASE_DIR, 새로운 디렉토리명) 이런식으로 새로운 경로를 지정해줬습니다. memo) 파이참에서 ctrl+b를 누르면 선언되어 있는 내용으로 이동한다고 합니다. ..

카테고리 없음 2024.10.01

[알고리즘] JAVA 기초 다지기 (2) - 출력

작성자이재영일 시2024. 10. 01 (화) 18:00 ~ 21:00장 소복지관 b128-1호참가자 명단임혜진, 이재영, 성창민, 김명원, 장원준 사 진더보기목차print, println, printfBufferedWriterStringBuilder, StringBuffer이번 주차에는 출력을 주제로 스터디를 진행하려고 한다. 자바가 어렵게 느끼는 이유 중 하나가 나는 이런 '기본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입/출력의 방식이 다른 언어와 비교해서 너무 다양해 어느 상황에 뭐를 사용해야 더 효율적인지 판단하기 힘들다. 그래서 이번 주차에서 다양한 출력 방식에 대해 공부하고 기본을 더 다져보려고 한다.1. print, println, printf자바를 공부하면 가장 먼저 배우는 출력 방식이다. 3가지 방법 ..

카테고리 없음 2024.10.01

[Boj] 백준 C++ #11726 2xn 타일링

작성자임혜진일 시2024. 10. 01 (화) 18:00 ~ 21:00장 소복지관 b128-1호참가자 명단임혜진, 이재영, 성창민, 김명원, 장원준 사 진  📍알고리즘 분류: DP 동적 프로그래밍큰 문제를 작은 문제로 나눌 수 있으며 작은 문제에서 구한 정답은 그것을 포함하는 큰 문제에서도 동일할 경우 DP를 사용한다. 📍문제 풀이:처음에는 조합(Combination)을 이용한 수식으로 문제에 접근했다. 문제에서 높이는 2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2xn 타일을 쪼개보면 타일을 구성할 수 있는 경우는 '2x1' 혹은 '1x2 두개를 위아래로 붙인 2x2' 뿐이다. 그래서 2x1의 모양을 A, 2x2의 모양을 B라고 하자. A는 가로를 1만큼 차지하고 B는 한번에 2만큼 차지한다. 따라서 2xn의 모양에서 ..

카테고리 없음 2024.10.01